스마트폰으로 집에서 셀프셀카사진 찍고▶ 증명사진 파일저장▶편의점 CU에서 프린팅박스 2천 원에 인화 끝냈어요. 여권이나 운전면허증, 각종 신분증에 넣을 증명사진을 규격에 맞게 쉽고 간단하게 하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사진 규격
◎ 여권사진 규격과 크기
본인임을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여권사진 규격이 가장 까다롭습니다.
⊙사진규격 및 크기
가로 3.5cm, 세로 4.5cm인 천연색 상반신 정면사진일 것.
머리길이(정수리부터 턱까지) 3.2~3.6cm(세로) 일 것.(얼굴이 사진에 꽉 참)
신청일 전 6개월 이내 촬영된 사진일 것.
⊙품질 및 배경
인화지에 인화된 사진으로 표면이 균일하고 구김 없이 선명할 것.
포토샵등으로 수정이나 변형사진은 사용불가.
배경은 균일한 흰색, 테두리가 없어야 합니다.
인물과 배경에 그림자나 빛 반사가 없어야 합니다.
⊙얼굴방향, 표정
얼굴과 어깨가 정면을 향해야 합니다.
입을 다물어야 하며 특별한 표정 없이 자연스러운 무표정이어야 합니다.
이마부터 턱까지 머리카락이나 장신구가 얼굴윤곽을 가리면 안 됩니다.
⊙안경, 의상 및 장신구
안경테가 얼굴을 가리거나 빛의 반사되면 사용불가.
컬러렌즈, 선글라스 사용하면 안 되고 머리카락이 눈썹이나 얼굴윤곽을 가려서는 안 됩니다.
흰색이 배경이라 흰색의상은 되도록 피하고 유색의상 착용권장.
종교적 의상은 일상복일 경우 허용되고, 얼굴전체가 나와야 합니다.
빛이 반사되는 귀걸이나 장신구는 안되며 목을 덮는 티셔츠나 스카프 착용은 자제합니다.
⊙영·유아
성인과 기준동일, 정면응시 무표정 기본.
입을 다물기 어려운 신생아 및 36개월 이하 유아경우는 입을 조금 벌리는 것 가능.
가장 까다로운 기준 여권사진▶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사원증, 학생증등 순으로 조금 완화됩니다. 정확한 지침이 있는 여권사진과 달리 배경색이 애매한데요. 몇 년 전부터 주민등록증 사진의 배경색을 허용하고 있어, 운전면허증은 규정상 안된다고 하지만 되는 경우도 있어 기준이 모호하다고 합니다.
집에서 셀프촬영 후 앱으로 보정
셀카도 잘 찍지 않지만 꼭 필요한 증명사진을 찍기 위해 휴대폰 거치대를 세워놓고 셀카촬영을 했습니다. 증명사진은 보정이 심한 어플은 절대 피해야 된다고 해서 스마트폰 기본 카메라로 찍었습니다. 자연광이 좋은 곳에서 깨끗한 흰색배경으로 여러 번 찍은 후 마음에 드는 사진을 한 장 고릅니다. 자연스러운 보정만 가능하므로 사진을 찍은 후 '증명사진 애플리케이션' 앱을 깔고 크기와 파일수정작업을 합니다.
위 모양의 앱을 다운로드하여 셀프촬영한 사진파일을 클릭하고 용도에 맞게 작업합니다.
앱 설치 후 클릭하면서 단계에 따라 사진파일을 불러오며 보정작업을 합니다.
사진용도에 맞는 크기를 설정하고 올린 사진파일을 눈금자 표시에 맞춰 보정합니다. 배경색과 약간의 수정이 가능하고 크기를 정확히 맞춰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여권이나 면허증, 주민등록증의 크기는 세로 45mm × 가로 35mm입니다. 용도에 맞는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작업을 마친 사진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완성 이미지에 반드시 '사진만'에 체크하고 사진 오른쪽 위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데이터파일로 저장합니다. 저장한 사진파일은 모바일등록 시 필요한 곳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CU편의점 프린팅박스 이용해 출력
저장된 파일로 인터넷사진주문을 통한 택배주문을 할 수도 있고, CU편의점 프린팅박스를 이용해 바로 출력할 수 있는데요. 프린팅박스는 문서나 사진을 인화하고 출력할 수 있는 기계입니다.
프린팅박스 사이트를 접속합니다. 회원가입 없이 비회원으로도 사진인화가 가능합니다.
모든 CU편의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꼭 프린팅박스 찾기를 통해 가까운 CU편의점에 있는 경우에 활용하면 좋습니다. 꼭 먼저 위치부터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용도에 맞는 사진을 선택합니다. 신분증사진은 여권사진, 가로세로 사이즈를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반명함이나 여권사진은 한 장 선택 시 6매의 사진이 출력됩니다.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과 여권은 사이즈는 같지만 인물 속 얼굴 사이즈 규정에서 차이가 나긴 합니다. 여권은 얼굴 사이즈규정을 꼭 맞춰야 하고 민증이나 운전면허증은 얼굴사이즈 규정은 없으니 참고하세요.
파일을 선택, 전화번호도 입력, 인쇄코드가 발급되며 24시간 내로 프린팅박스에서 인쇄코드를 입력하면 출력할 수 있습니다.
프린팅박스 찾기를 통해 가까운 CU편의점을 방문합니다.
저렇게 생긴 기계가 바로 프린팅 박스! 별 다른 것 없이 인쇄코드 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인쇄 가능합니다.
인쇄매수와 사이즈를 모두 선택해 둔 상태라 인쇄코드를 입력만 하면 끝!
결제는 신용카드만 가능하고, 신분증의 경우 칼라 6매 한 장당 2,000원입니다. 사진 인화지에 인쇄되고 6매 가격으로 굉장히 저렴한 것 같네요.
1~2분 내로 사진이 인쇄되어 나옵니다. 가까운 곳 프린팅박스가 있는 CU편의점만 있다면 2천 원 내로 각종 증명사진은 24시간 출력가능하니 너무 편리한 것 같습니다.
증명사진 찍으려면 준비해서 사진관 찾아서 찍고 기다리고 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가격도 저렴하지 않아 한 번 찍기가 힘들었는데요. 집에서 마음에 들도록 셀프촬영하고 가까운 곳에서 바로 인쇄까지 할 수 있어 너무 간단하고 돈도 절약되는 것 같습니다. 많이들 활용하셔서 필요한 곳에 편리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처랜드 문화상품권, 지류/온라인 충전 종료? 사용방법 정리 (0) | 2022.12.25 |
---|---|
26일 대체공휴일일까? 성탄절 일요일, 23년부터 빨간 날 (0) | 2022.12.23 |
애플페이 현대카드 만들까? 간편결제 시대 (0) | 2022.12.21 |
알뜰폰 요금제 무제한 월 1만원대 가입 통신사 비교 (0) | 2022.12.20 |
2023년 바뀌는 것, 모르면 손해 달라지는 것은 (0) | 2022.12.18 |
댓글